울산 첫 도시철도 시대 개막
페이지 정보
본문
울산 도시철도 위치도
□ 울산 첫 도시철도 시대 개막
ㅇ 도시철도 1호선 트램 기본계획 승인
ㅇ 태화강역~신복교차로 간 정거장 곳 신설...28년 개통 목표로 추진
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‘울산 도시철도 1호선(트램)’ 건설사업에 대한 ‘기본계획’을 승인했다.
울산 도시철도 1호선은 광역시 중 유일하게 도시철도가 없는 울산시에 친환경 무가선 수소전기트램을 건설하는 사업이다. 태화강역에서 신복교차로까지 총길이 10.9㎞ 구간에 정거장 15개소를 신설할 예정이며, ’28년 개통을 목표로 추진한다.
* (한국의 6개 특별.광역시도 도시철도 개통연도)
① 서울시(1974년)
② 부산시(1985년)
③ 대구시(1997년)
④ 인천시(1999년)
⑤ 광주시(2004년)
⑥ 대전시(2006년)
울산 도시철도 1호선 위치도
특히, 울산1호선 트램은 우리나라 최초 수소시범도시인 점을 감안, 친환경 수소무가선트램*으로 건설할 계획이다.
* 전기공급을 위한 가선(전선) 없이 수소연료전지를 이용해 운행하는 친환경 노면전차(트램)
친환경수소트램의 연료는 수소와 산소의 반응으로 물이 배출됨으로써 배기가스가 없고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하는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.
* (차량 제원) 크기 35.0m×2.65m×4.0m / 총9편성(5모듈 1편성) / 1회 충전(20분) 200㎞
대광위는 이번 기본계획 승인으로 곧바로 기본 및 실시설계에 착수하여 ’28년 개통을 목표로 추진할 계획이다.
* (사업절차) 기본계획 수립(울산시) → 기본계획 승인(대광위) → 기본 및 실시설계(울산시) → 사업계획 수립(울산시) → 사업계획 승인(대광위) → 착공 및 개통
울산1호선은 울산시 주요 도로인 삼산로, 문수로, 대학로를 운행하는 노선으로 평균 버스 통행시간 40분 대비 12분 감소(30% 단축)한 28분이 소요될 예정이다. 빠른 이동과 정시성 확보, 동해선 광역전철(연간 이용객 250만명)과의 환승 연계로 광역권 이동 편의 증진에도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전망된다.
국토교통부는 “울산 도시철도 1호선이 ’28년에 적기 개통할 수 있도록 본 사업을 적극 지원하는 한편, 이와 연계되는 도로, 철도, 환승시설 등 다른 광역교통수단 확충도 지원하여 주민들이 더 편리하고 더 안전한 광역교통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게 노력해 나갈 것”이라고 밝혔다.
울산시는 동서축의 1호선과 함께 남북축의 2호선도 완성되면 십자형 간선 대중교통 축이 형성되어 대중교통 이용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, 대광위에서도 울산2호선이 예비타당성 조사대상에 조속히 선정될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할 계획이다.
울산 도시철도 1호선 트램
□ 사업 개요
ㅇ (사업구간) 남구 삼산동(태화강역) ~ 남구 무거동(신복교차로)
ㅇ (사업규모) L=10.85km, 정거장 15개소, 트램(수소연료전지 방식)
ㅇ (총사업비) 3,814억 원(국비60% 2,288, 시비40% 1,526)
ㅇ (사업기간) 2021년 ∼ 2028년
ㅇ (시 행 자) 울산광역시
□ 추진경위
ㅇ `20. 9. : 울산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승인·고시(국토부)
ㅇ `23. 8. : 타당성 재조사 통과(B/C 0.85, AHP 0.535)
ㅇ `23. 11. : 기본계획 수립 용역 착수(~’24. 9, 울산시 주관)
ㅇ ‘24. 5. : 주민공청회 개최(5.30.)
ㅇ ‘24. 6. : 의회 의견 청취(6.12.)
ㅇ ‘24. 8. : 기본계획(안) 승인 요청 제출(울산시 → 대광위)
ㅇ ‘25. 1. : 총사업비 협의 완료(기재부)
ㅇ ‘25. 2. : 기본계획 승인 및 관보 고시
□ 향후 계획
ㅇ 설계.시공 일괄 입찰 등 후속 절차를 거쳐 목표연도(’28년) 준공